농어촌 인구소멸지역 84개 vs 89개, 정확한 차이점과 대상 지역 완벽 정리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84개와 89개 구분 기준 확인해보세요. ‘농어촌’의 범위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른 건데요. 행정안전부가 2021년 처음 지정한 인구감소지역은 총 89곳이지만, 이 중 5곳은 부산과 대구의 도시지역 구(區)들이에요. 순수한 농어촌 시군만 따지면 84개가 되는 거죠.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84개 시군 현황

광역시·도시·군 수시·군 이름
대구1군위군
인천2강화군, 옹진군
경기2가평군, 연천군
강원12고성군, 삼척시,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정선군, 철원군,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횡성군
충북6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제천시
충남9공주시, 금산군, 논산시, 보령시, 부여군, 서천군, 예산군, 청양군, 태안군
전북10고창군, 김제시, 남원시, 무주군, 부안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정읍시, 진안군
전남16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보성군, 신안군, 영광군, 영암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해남군, 화순군
경북15고령군, 문경시, 봉화군, 상주시, 성주군, 안동시, 영덕군, 영양군, 영주시, 영천시,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경남11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밀양시,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행정안전부 인구감소지역 캡처
행정안전부 인구감소지역 캡처

지역별 분포 현황

순수 농어촌 지역만 포함한 84개 시군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전남이 16개로 가장 많고, 경북 15개, 강원 12개, 경남 11개 순이에요. 수도권인 경기도도 가평군과 연천군 2곳이 포함되어 있어 지방소멸 위기가 전국적인 현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지역에 대해 느낀 점은, 단순히 인구가 줄어드는 것을 넘어 지역 경제와 문화, 교육 인프라까지 함께 무너지고 있다는 거예요. 특히 강원도 산간 지역이나 전남 도서 지역의 경우 젊은 층의 유출이 심각해서, 지역 상권이 완전히 사라진 곳들도 많이 봤습니다.

권역별 세부 현황

수도권 및 충청권: 경기 2개(가평군, 연천군), 충북 6개, 충남 9개 지역이 포함되어 있어요. 이 지역들은 상대적으로 교통 접근성이 양호한 편이지만, 젊은 층의 서울 집중 현상으로 인해 인구 감소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호남권: 전북 10개, 전남 16개로 총 26개 지역이 포함되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해요. 특히 전남의 경우 도서 지역이 많아 접근성 문제가 심각하고, 고령화율도 전국 최고 수준입니다.

영남권: 경북 15개, 경남 11개, 대구 1개(군위군)로 총 27개 지역이 해당돼요. 경북 북부 지역과 경남 서부 산간 지역의 인구 감소가 두드러집니다.

인구감소지역 89개 전체 현황

광역시·도시·군·구 수시·군·구 이름
부산3동구, 서구, 영도구
대구3남구, 서구, 군위군
인천2강화군, 옹진군
경기2가평군, 연천군
강원12고성군, 삼척시,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정선군, 철원군,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횡성군
충북6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제천시
충남9공주시, 금산군, 논산시, 보령시, 부여군, 서천군, 예산군, 청양군, 태안군
전북10고창군, 김제시, 남원시, 무주군, 부안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정읍시, 진안군
전남16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보성군, 신안군, 영광군, 영암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해남군, 화순군
경북15고령군, 문경시, 봉화군, 상주시, 성주군, 안동시, 영덕군, 영양군, 영주시, 영천시,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경남11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밀양시,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89개 전체 인구감소지역에는 앞서 말한 84개 농어촌 시군에 더해 부산 3개구(동구, 서구, 영도구)와 대구 2개구(남구, 서구)가 추가로 포함돼요. 이들 도시지역이 포함된 이유는 산업 구조 변화와 도심 공동화 현상으로 인한 인구 유출 때문입니다.

실제로 부산 영도구나 동구 같은 경우 과거 조선업과 항만업의 중심지였지만, 산업 쇠퇴와 함께 젊은 층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인구 감소가 심각해졌어요. 제가 현장을 방문했을 때도 빈 상가와 노후 주택들이 눈에 띄었습니다.

정부 지원 정책 적용 기준

주요 지원 정책들

정부의 농어촌 지원 정책은 대부분 84개 농어촌 시군을 기준으로 적용돼요. 민생회복지원금, 농어촌 특별교부세, 지역 균형발전 사업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최근 발표된 농림축산식품부 농어촌 지원 정책을 보면, 농어촌 지역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들이 이 84개 시군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어요.

지원 정책의 실효성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러한 지원 정책만으로는 인구 유출을 막기 어려운 상황이에요. 제가 만난 지역 주민들은 “돈보다는 일자리와 교육, 의료 인프라가 더 중요하다”고 말씀하시더라고요.

특히 젊은 세대들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자녀 교육 환경 개선이 시급한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지역 발전을 위한 노력들

성공 사례들

다행히 일부 지역에서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인구 유출을 막고 있어요. 강원도 정선군의 경우 폐광 지역을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고, 전남 담양군은 죽녹원과 메타세쿼이아 길을 중심으로 한 관광 산업 육성으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충남 태안군도 해양 관광과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젊은 층 유입을 늘리고 있어요. 이런 지역들의 공통점은 지역 특색을 살린 차별화된 발전 전략을 세웠다는 거예요.

지역 주민들의 노력

지역 주민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지역 살리기에 나서고 있어요. 경북 영양군의 경우 주민들이 직접 나서서 도시민 유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전남 구례군은 친환경 농업과 생태 관광을 결합한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자주하는 질문과 답변 (FAQ)

Q1: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84개와 89개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1: 84개는 순수 농어촌 시군만 포함한 것이고, 89개는 여기에 부산·대구의 도시지역 구(區) 5곳을 추가한 전체 인구감소지역입니다. 정부의 농어촌 지원 정책은 주로 84개를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Q2: 인구소멸지역 지정 기준은 무엇인가요?

A2: 인구감소율, 고령화율, 재정자립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정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최근 5년간 인구감소율과 청년층(20~39세) 인구비율 등이 주요 기준이 됩니다.

Q3: 인구소멸지역으로 지정되면 어떤 혜택이 있나요?

A3: 국비 지원 확대, 특별교부세 추가 배정, 각종 규제 완화, 지역 맞춤형 개발 사업 우선 지원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지원 내용은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해당 지자체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민생회복지원금 지역별 지원 방식이 달라요(+추가 혜택과 특화 정책)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시기: 언제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민생회복지원금 건강보험료 기준: 내가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댓글 남기기